본문 바로가기

Programmers/프로그래머스

[프로그래머스] 실패율

[문제]

실패율

슈퍼 게임 개발자 오렐리는 큰 고민에 빠졌다. 그녀가 만든 프랜즈 오천성이 대성공을 거뒀지만, 요즘 신규 사용자의 수가 급감한 것이다. 원인은 신규 사용자와 기존 사용자 사이에 스테이지 차이가 너무 큰 것이 문제였다.

이 문제를 어떻게 할까 고민 한 그녀는 동적으로 게임 시간을 늘려서 난이도를 조절하기로 했다. 역시 슈퍼 개발자라 대부분의 로직은 쉽게 구현했지만, 실패율을 구하는 부분에서 위기에 빠지고 말았다. 오렐리를 위해 실패율을 구하는 코드를 완성하라.

  • 실패율은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.
    • 스테이지에 도달했으나 아직 클리어하지 못한 플레이어의 수 / 스테이지에 도달한 플레이어 수

전체 스테이지의 개수 N, 게임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현재 멈춰있는 스테이지의 번호가 담긴 배열 stag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실패율이 높은 스테이지부터 내림차순으로 스테이지의 번호가 담겨있는 배열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라.

제한사항

  • 스테이지의 개수 N은 1 이상 500 이하의 자연수이다.
  • stages의 길이는 1 이상 200,000 이하이다.
  • stages에는 1 이상 N + 1 이하의 자연수가 담겨있다.
    • 각 자연수는 사용자가 현재 도전 중인 스테이지의 번호를 나타낸다.
    • 단, N + 1 은 마지막 스테이지(N 번째 스테이지) 까지 클리어 한 사용자를 나타낸다.
  • 만약 실패율이 같은 스테이지가 있다면 작은 번호의 스테이지가 먼저 오도록 하면 된다.
  • 스테이지에 도달한 유저가 없는 경우 해당 스테이지의 실패율은 0 으로 정의한다.

입출력 예

5 [2, 1, 2, 6, 2, 4, 3, 3] [3,4,2,1,5]
4 [4,4,4,4,4] [4,1,2,3]

입출력 예 설명

입출력 예 #1
1번 스테이지에는 총 8명의 사용자가 도전했으며, 이 중 1명의 사용자가 아직 클리어하지 못했다. 따라서 1번 스테이지의 실패율은 다음과 같다.

  • 1 번 스테이지 실패율 : 1/8

2번 스테이지에는 총 7명의 사용자가 도전했으며, 이 중 3명의 사용자가 아직 클리어하지 못했다. 따라서 2번 스테이지의 실패율은 다음과 같다.

  • 2 번 스테이지 실패율 : 3/7

마찬가지로 나머지 스테이지의 실패율은 다음과 같다.

  • 3 번 스테이지 실패율 : 2/4
  • 4번 스테이지 실패율 : 1/2
  • 5번 스테이지 실패율 : 0/1

각 스테이지의 번호를 실패율의 내림차순으로 정렬하면 다음과 같다.

  • [3,4,2,1,5]

입출력 예 #2

모든 사용자가 마지막 스테이지에 있으므로 4번 스테이지의 실패율은 1이며 나머지 스테이지의 실패율은 0이다.

  • [4,1,2,3]

 

[풀이]

1) 스테이지 1부터 N까지의 실패율을 구한다. (단순 계산, type은 double이나 float를 사용해야 한다.)

 

2) 주의해야?? 할 점은 만약 i번째 사용자가 스테이지 2에 있다면 i번 사용자는 1번 스테이지를 성공하고 2번 스테이지를 성공하지 못한 단계이다. 

-> 즉, 1번 스테이지는 successNum++ 이고 2번 스테이지는 successNum++, reachNum++ 이다. 

-> successNum == 0인 경우에는 해당 스테이지에 아무도 접근하지 못했다는 뜻이기 때문에 실패율이 0이다. 

 

3) 구해진 실패율을 stageFail에 넣고 소트한다. (실패율이 높은 순대로. 실패율이 같으면 인덱스가 작은 순부터.)


 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32
33
34
35
36
37
38
39
40
41
42
43
44
45
46
47
48
49
50
#include <string>
#include <vector>
#include <algorithm>
#include <iostream>
 
using namespace std;
typedef pair<doubleint> pp; //실패율, 인덱스
 
bool compare(const pp &a, const pp &b) {
    if (a.first == b.first ) return a.second < b.second;
    return a.first > b.first;
 
}
 
vector<int> solution(int N, vector<int> stages) {
    vector<int> answer;
    vector<pp> stagefail; //실패율 저장 배열 (각 인덱스마다)
    
     for (int j = 1 ; j <=N; j++) {
        int reachNum = 0, successNum = 0;
        for (int i = 0; i < stages.size(); i++) {
        //각 스테이지의 인덱스보다 같거나 작은 수는 도달했지만 성공하지 못한 사람 
        //인덱스보다 높은 수는 도달했고 성공한 사람들 
            //각 인덱스보다 작으면 인원수를 늘린다. 
            if (stages[i] >= j) {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//j 인덱스의 스테이지 도달 인원수  늘림 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successNum++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if (stages[i] == j)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reachNum++;
            }
        }
         //스테이지에 도달한 사람이 없는 경우 
         if (successNum == 0)  {
             stagefail.push_back(pp(0, j));
             continue;
         }
 
         double failPerc = (double) reachNum/(double)successNum;
         
         stagefail.push_back(pp(failPerc, j));
    }
    
    sort(stagefail.begin(), stagefail.end(), compare);
    
    for (int i = 0; i < stagefail.size(); i++) {
        answer.push_back(stagefail[i].second);
    }
    
    return answer;
}
http://colorscripter.com/info#e" target="_blank" style="color:#4f4f4ftext-decoration:none">Colored by Color Scripter